[번역] 와칸다, 실존 불가능한 진보된 사회
오늘도 심심해서 올리는 번역입니다.
맛을 살리기 어렵거나 까다로운 부분은 오역 및 빠뜨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역자 생각], 강조할 부분은 이렇게 표시하겠습니다.
이번 영상에선 '블랙 팬서'에 대해 이야기 해볼 겁니다.
제가 이 영화에서 마음에 든 점, 그리고 왜 와칸다가 "실존 불가능한 진보된 사회"(Inconceivably advanced society)"
[다른 번역으론 상상하기 힘든 진보된 사회 가 있습니다]
의 완벽한 예시인지에 대해 이야기 할겁니다.
블랙 팬서는 연타석 히트를 치고 있는 마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18번째 영화입니다.
지금까지, 그것은 전세계적으로 13억 달러 이상을 벌었죠.
사람들이 이 영화를 정말로 좋아한다고 말하는게 당연하죠.
영화엔 좋은 점도 많이 있어요.
다른 마블 영화랑 다르게 이미 정립된 캐릭터, 카메오에 의존하지 않고 좀 더 독립된 영화죠.
그리고 나중에 나올 영화 설정을 마련하는데 시간을 많이 쓰지도 않아요.그래서 온전히 독립적인 작품처럼 느껴지죠.
매력적인 조연 캐릭터들과 마블에서 가장 훌륭한 악당 캐릭터인 마이클 B 조던의 킬몽거도 있고요.
킬 몽거의 일관적인 캐릭터 성에 대해선 하고 싶은 말이 많아요. 비뚤어진 세계관을 가진 악당이지만 동기는 선명하고 현실감이 있었거든요.
이정도면 마블에게 있어선 큰 성공이죠.
[한때 아이언맨 2에서 악당을 낭비한다는 평가도 들었죠, 나중에 갈수록 시빌워의 제모나 벌쳐, 타노스같이 매력적인 빌런을 만들어내서 참 다행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하나 있어요. 와칸다? 와칸다는 말이 안돼요.
괜히 분위기 좋은데 찬물을 끼얹는 것은 싫지만, 영화 속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는 문제고, 여기에 대해선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영화를 보거나 만화책을 읽지 않은 몇몇 분을 위해 와칸다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와칸다는 완전히 고립된 채로 다른 세상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비밀로 지켜온 가상의 동아프리카 국가입니다.
비브라늄으로 알려진 강력한 가상의 금속을 독점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죠.
이 영화는 와칸다의 역사를 훌륭하게 설정했지만, 요점만 말하면,
오래전에 우주에서 떨어진 비브라늄 운석덕분에 와칸다의 땅과 생태계에 놀라운 영향을 주었다는 거죠.
게다가, 비브라늄은 채굴하고 활용됐을 때, 엄청나게 놀라운 미래기술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도 있죠.
너무 세세하게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는 신경쓰지 마세요. 그건 중요한게 아니니까요.
중요한건 와칸다가 다이아몬드나 금, 석유보다 더 값진 엄청나게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영화나 만화의 작가들이 한 말에 따르면, 그게 와칸다가 부유한 이유죠.
사실 잘 생각해보면, 이건 와칸다가 부유한 '유일한' 이유입니다.
생각해보죠. 와칸다는 왕을 목숨을 건 혈투로 선택하는 부족 기반 군주국가입니다.
와칸다의 현재 통치자인 트찰라는 최선의 선택을 내리기 위해 고심하는 윤리적이고 금욕적인 성격의 소유자지만
옆에서 조언을 해주는 원로회의를 보고 있으면 기본적으로 독재국가에요.
만약 트찰라가 정신줄을 놔버리거나 킬몽거가 이겼다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글쎄요, 일반 시민들은 망한거죠.
역사적, 인류학적, 경제학적으로 봤을 때, 개개인의 권리가 존중되지 않고 정신나간 독재자가 법과 법 집행, 군사력을 통제하는걸 막을 수 없는 사회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았습니다.
액튼 경이 말한 것 처럼 "권력은 부패하고,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하죠"
그러니 직설적으로 말해서, 와칸다의 정부 체계는...의문의 여지가 많죠.
경제학자들이 "자원의 저주", "풍요의 역설"이라고 부르는 문제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직관과 다르게, 천연 자원이 풍부한 나라들은 천연자원이 적은 나라보다 낮은 경제 성장을 보이고,
안정된 정부를 갖지 못하고 발전에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누가 그 자원을 통제하는가 때문에 폭력적 분쟁이 발생하죠.
석유 때문에 일어나는 전쟁이나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생각해보세요.
비브라늄처럼 접근이 일부에게만 제한된 자원에 대한 국가의 통제는 정치적 부패를 불러올 겁니다.
여기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은 왕이나, 왕의 친구, 공무원에게 뇌물을 준 사람들 뿐이겠죠.
기업가 정신을 위해선 경제적 자유가 필요합니다.
이게 없는 많은 자원 부국들은 경제구조를 다양하게 하지 않고
대신 집중된 하나의 정부 산업(자원)에 전적으로 의존하죠.
만약 그 자원(산업)이 바닥나거나, 가치가 떨어지면 국가 전체의 경제는 붕괴되겠죠.
이런 나라들은 모든 것을 국가가 통제하기 때문에
수백만의 개인 사업자들과 소비자가 스스로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사회(경제적 자유) 같은 융통성이 전혀 없습니다.
베네수엘라를 생각해보세요.
게다가 와칸다는 이것 보다 더 큰 문제가 있습니다.
고립주의죠.
딱히 과장하지 않고 말하겠습니다.
무역을 거부하는 국가들은 빈곤과 죽음으로 가는 운명을 타고날 수 밖에 없습니다.
와칸다가 묘사 된 걸 보면 외부와의 접촉이 전혀 없어요.
그리고, 와칸다는 자신이 가진 가장 중요한 자산을 숨기고 있기 다른 나라와 거래할 게 없습니다.
[하지만 와칸다엔 짱짱맨 비브라늄이 있는걸?]
압니다. 비브라늄은 엄청난 물건이죠.
그 엄청난 기술과 비브라늄으로 만든 물건이 있으면 다른 누구와도 거래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르죠. 그렇죠?
아닙니다. 비브라늄이 대단할 수도 있지만, 중요한건 그게 아니에요.
어떠한 자원이라도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데 들어가는 창의력과 기술의 양만큼 좋을 뿐이에요.
하지만 와칸다는 인구가 한정된 작은 나라입니다, 그것이 차이점을 만들어요.
무역은 전문화의 핵심입니다. 전체 무역망에서 더 많은 무역 파트너와 더 다양한 수요가 생길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과 더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죠.
무역에서 단절된 사회는 다른 나라보다 더 빨리 발전하기는 커녕,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생존에 기본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술마저도 잃게 됩니다.
맷 리들리의 책 "합리적 낙관론자"는 역사에 걸쳐서, 다양한 곳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 지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기술 혁신은 무역로를 중심으로 발달하게 되어 있습니다.
인류학적 기록을 살펴보면 더 큰 땅덩어리에서 떠내려갔거나 산맥에 의해 단절된 곳에 살았던 사람들은 발전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실제로 더 원시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쪽으로 퇴보했고, 분리되기 전보다 더 나쁜 건강상태과 사회적 결과물을 보였죠.
예를 들어볼까요? 인류는 약 35,000년 전에 현재 태즈메이니아인 호주의 남쪽 끝에 처음으로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약 1만년 전에 베스 해협에 물이 차오르면서 태즈메이니아인들은 나머지 대륙으로부터 고립되었죠.
리들리에 따르면, 유럽인들이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을 처음 만났을 때 그들은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이 본토에 있는 다른 사촌 원주민들과 비교했을때나 조상과 비교했을때 기술이 오히려 퇴보했다는 걸 밝혀냈습니다.
그들은 바늘이나 송곳, 추운 날씨를 버틸수 있는 옷, 낚시 바늘, 원시적인 공구, 간날 창, 어망, 투창기나 부메랑 같은 도구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리들리는 더 나아가 무역 네트워크를 사람들의 "집단(총체)적인 두뇌"라고 묘사했습니다.
서로 다른 관점과 기술을 가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모이면 좋은 아이디어가 만들어지고 퍼질 수 있는 기회가 훨씬 더 많이 생기게 되죠.
이것이 시장이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
하지만 영화에서 와칸다가 나오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정반대입니다.
그래서 와칸다가 "실존 불가능한 발전된 사회"라는 겁니다.
와칸다를 보면 높은 수준의 부와 기술을 가지고 있고 평화로우며 교육받을 수 있는 사회로 보이죠.
하지만 실제로 현실에서 그런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이나 사회적, 경제적 연결고리는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와칸다는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독재정치,고립주의 같은 방식들을 많이 가지고 있죠.
불행히도, 우린 이런 사회를 픽션에서 많이 보게 되죠. 저는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무역을 제한하고, 정치인들이 천연 자원을 통제하고, 모든 사람들을 위해 국가가 모든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그런 나라들이 실제론 가난으로 퇴보하는 것과 반대로 그들이 나라의 부와 기술을 '보호'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서 재미있는 슈퍼히어로 영화인 블랙 팬서를 즐기세요, 하지만 속진 마십시오.
경제적 고립, 무역 제한, 하향식 중앙 통제 계획으로는 와칸다 같은 사회가 만들어질 일은 없을 겁니다.
만약 기업가정신과 국제 무역에 경제를 개방한다면 가능할지도요.
--------------------------------------------------------
가만 생각해보면 와칸다는 북한이랑 닮은 구석이 참 많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세계와 단절이 된 고립주의
상명하복의 계획경제
일부 혈통만 왕이 될 수 있는 사회
국가의 리더가 되려면 형제나 일가친척과 목숨을 걸고 싸워야함???
짱짱 강력한 무기(자원)이 있고, 그것밖에 믿을게 없음